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쓰임새ㆍ위치ㆍ모양따른 길이름

단상

by 솔 뫼 2021. 11. 21. 23:21

본문

돌아가는 길과 질러가는 길
어느 길에 든 장단점은 있다


< 에움길과 지름길 >

길’은 사람들이 정말 자주 쓰는 흔한 말이다.
나는 이상하게 이 한 글자의 단어가 오래전부터 참 좋았다. 그 어감이 입에 착 감긴다.
긴 세월 참 친구처럼 다정하게 긴 여운을 준다.
‘에움길’
이 뜻을 모르는 이도 많을것 같다.
‘빙 둘러서 가는 멀고 굽은 길’ 이라는 뜻이다.
둘레를 빙 둘러싸다’는 동사 ‘에우다’에서 나왔다.
지름길은 질러가서 가까운 길이고, 에움길은 에둘러 가서 먼 길이다

‘길’은 토종 우리 말이다.
한자를 쓰기 전부터 길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신라 향가에도 나온다.
길을 칭하는 말들은 거개가 우리말이다.
그런데 길 이름에는 질러가거나 넓은 길보다 돌아가거나 좁고 험한 길에 붙은 이름이 훨씬 많다. 우리 인생사처럼 말이다.


-집 뒤편의 뒤안 길,
-마을의 좁은 골목길을 뜻하는 고샅 길,
-꼬불꼬불한 논두렁 위로 난 논틀 길,
-거칠고 잡풀이 무성한 푸서릿 길,
-좁고 호젓한 오솔 길,
-휘어진 후밋 길,
-낮은 산비탈 기슭에 난 자드락 길,
-돌이 많이 깔린 돌서더릿 길 이나 돌너덜 길,
-사람의 자취가 거의 없는 자욱 길,
-강가나 바닷가 벼랑의 험한 벼룻 길.
그런데 숫눈길’이라는 길도 있는데 들어 본적들 있는지?
눈이 소복이 내린 뒤 아직 아무도 지나가지 않은 누군가의 첫 발자국을 기다리는 길이다.


‘길’이란 단어는 단어 자체만으로도 참 문학적이고 철학적이고 사유적이다.
‘도로’나 ‘거리’가 주는 어감과는 완전 다르다.
‘길’은 단순히 사람들이 밟고 지나다니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길이 없다”거나 “내 갈 길을 가야겠다”라는 표현에서 보듯 길은 삶에서의 방법이거나 삶 그 자체다.
영어 ‘way’도 ‘street’와 달리 같은 중의적 의미를 갖는다.
서양 사람들도 길에서 인생을 연상하는구나 싶어 신기했다.
불교나 유교, 도교 등 동양사상에서의 공통적 이념도 도(道)라고 부르는 길이다.

우리는 평생 길 위에 있다.
누군가는 헤매고, 누군가는 잘못된 길로 가고, 누구는 한 길을 묵묵히 간다.
오르막길이 있으면 반드시 내리막길도 있다.
탄탄대로가 있으면 막다른 골목도 있다.
세상에 같은 길은 없다.
오직 나만의 길만 있을 뿐이다.
프랭크 시내트라에게는 “Yes, it was my way
(그래 내 방식이었고)”였고 “I did it my way
(내 방식대로 했다)”였다.


나이가 지긋한 분들 중에는 그 유명한 흑백영화 ‘길’(La Strada, 1954년)을 기억하는 분이 있을 것이다.
야수 같은 차력사 잠파노(안소니 퀸)와 순진무구한 영혼을 가진 젤소미나(줄리에타 마시나)는 평생 서커스 동반자로 길을 떠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자기가 버린 젤소미나의 죽음을 알고 잠파노는 짐승처럼 울부짖는다.
길이 끝나는 바닷가에서다.
애절하게 울려 퍼지는 니노 로타의 그 유명한 트럼펫 연주 테마 음악. 영화와 제목이 너무나 잘 어울린다.


미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명시 ‘가지 않은 길’에서 이렇게 술회했다.
“숲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
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택했다
그리고 그것이 나의 모든 것을 바꿔 놓았다.”

길은 목적지에 가기 위해서도 존재하지만
떠나기 위해서도 존재한다.
‘길을 간다’라는 말보다
‘길을 떠난다’는 말은 왠지 더 낭만적이거나 애잔하거나 때론 결연하기도 하다.
결국 우리는 길 위에서
길을 물으며 살아가는 것이다.
그게 입신양명의 길이거나,
고행의 길이거나,
득도의 길이거나,
산티아고 길이거나,
바이칼 호수의 자작나무 숲길이거나,
동네 둘레길이거나~~
우리네 인생이 곧 길이요, 우리의 발이 곧 삶이다.


결국은 모두가 자신만의 길인 ‘마이 웨이’를 가는 것이다.
다만
지름길을 택할 것인가?
에움길로 돌아서 갈 것인가?
결국 인생길은 속도와 방향의 문제일 뿐이다.
지름길로 가면 일찍 이루겠지만 그만큼 삶에서 누락되고 생략되는 게 많을 것이고, 에움길로 가면 늦지만 많은것을 경험하고 보게 될 것이다.
꽃구경도 하고, 새소리 바람소리도 듣고, 동반자와 대화도 나눌 것이다.
사랑도 그렇지 않을까?
모든 사랑은 차표 한 장으로 쉽게 가는 지름길이 아니고, 수만 갈래의 에움길을 돌고 돌아서 이루는 것이다.
여기, 사랑의 신산함을 에움길로 묘사한 명시를 하나 소개해 본다 .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것이었다//
(중략)//
나의 생애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하나의
에움길이었다”
"너에게로 가는
단하나의 에움길 뿐"~~~~{푸른 밤/나희덕)

< 이 글은 친구가 퍼서 나에게 보내준 글입니다.
글의 출처는 모르지만 내용이 좋아 사진 몇 장 곁들여 공유했습니다.
그리고 저도 나에게 주어지는 길을 걸어가렵니다.>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겨울 장미  (0) 2021.11.29
1년만에 모인 아홉 말뚝  (0) 2021.11.26
사진으로 남은 서울 단풍  (0) 2021.11.15
건강-금슬 다지는 서울 트레킹  (0) 2021.09.26
맏형님의 歸鄕  (0) 2021.08.22

관련글 더보기